반응형 기초 학습형24 카운터 IC의 종류와 응용 카운터 IC는 입력된 클럭 신호를 세어 순차적인 출력 상태를 만드는 디지털 집적회로입니다. 시간, 주파수, 이벤트의 개수를 측정하거나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등 디지털 시스템에서 폭넓게 활용됩니다.1. 카운터 IC란?카운터(Counter) IC는 플립플롭을 기본 블록으로 사용하여 클럭 펄스를 세고 이를 이진수 형태로 출력하는 회로입니다.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증가, 감소, 또는 특정한 패턴으로 동작할 수 있습니다.2. 카운터 IC의 기본 원리카운터는 클럭 펄스를 입력받아 상태를 변화시킵니다.✔ 업 카운터(Up Counter): 클럭이 들어올 때마다 1씩 증가✔ 다운 카운터(Down Counter): 클럭마다 1씩 감소✔ 업/다운 카운터: 제어 입력에 따라 증가 또는 감소출력은 2진수, 10진수(BCD), .. 2025. 10. 5. 플립플롭 IC의 종류와 동작 원리 플립플롭(Flip-Flop) IC는 디지털 회로에서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태를 유지하는 핵심 순차 논리 소자입니다. 단순한 로직 게이트로는 시간에 따른 상태 저장이 어렵기 때문에, 플립플롭 IC는 클럭 신호에 맞춰 데이터를 기억하고 제어하는 역할을 합니다.1. 플립플롭 IC란?플립플롭 IC는 1비트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본 메모리 소자입니다. 출력은 입력 신호와 클럭 조건에 따라 변하며, 전원이 공급되는 동안 상태를 유지합니다. 플립플롭은 모든 레지스터, 카운터, 메모리 회로의 기본이 됩니다.2. 플립플롭의 기본 원리플립플롭은 로직 게이트 조합과 클럭 신호를 기반으로 동작합니다.✔ 클럭(Clock): 데이터 저장 시점을 제어✔ 입력(Input): 저장할 데이터✔ 출력(Output): 저장된 값즉, .. 2025. 10. 4. 로직 게이트 IC(AND, OR, NOT)의 원리와 응용 로직 게이트 IC는 디지털 회로의 가장 기본이 되는 집적회로입니다. 모든 디지털 시스템은 논리 연산을 기반으로 동작하며, 그 중심에는 AND, OR, NOT 게이트가 존재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세 가지 기본 게이트의 원리와 응용 사례를 정리하겠습니다.1. 로직 게이트란?로직 게이트는 입력 신호의 조합에 따라 논리적인 출력을 내는 전자 회로입니다. 입력 값은 0(LOW) 또는 1(HIGH)로 표현되며, 각각의 게이트는 고유한 진리표(Truth Table)를 가집니다. 로직 게이트 IC는 이러한 게이트들을 집적해 디지털 연산을 수행할 수 있게 해줍니다.2. AND 게이트AND 게이트는 모든 입력이 1일 때만 출력이 1이 되는 게이트입니다.입력 A입력 B출력000010100111응용 예시: 보안 시스템(두 조.. 2025. 10. 3. 클럭 발생기 IC와 타이밍 제어 기술 클럭 발생기 IC는 디지털 시스템의 심장과 같은 역할을 합니다. 모든 연산과 데이터 전송은 클럭 신호에 맞춰 동기화되며, 이를 정밀하게 생성하고 제어하는 기술이 바로 타이밍 제어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클럭 발생기 IC의 개념과 원리, 그리고 타이밍 제어 기술을 살펴보겠습니다.1. 클럭 신호란?클럭 신호는 디지털 회로에서 동작을 동기화하기 위한 주기적인 펄스 신호입니다. CPU, 메모리, 주변 장치는 클럭에 맞춰 데이터를 주고받으며, 클럭 속도는 곧 시스템의 성능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2. 클럭 발생기 IC의 개념클럭 발생기 IC는 기준 주파수를 생성하고 이를 안정적인 클럭 신호로 변환하는 집적회로입니다. 단순한 발진 회로를 넘어, 온도 보상·위상 동기·주파수 분주 기능을 내장하여 다양한 응용 환경.. 2025. 9. 24. CMOS vs TTL IC: 디지털 회로 기술 비교 디지털 회로를 구성하는 대표적인 기술로 CMOS IC와 TTL IC가 있습니다. 두 기술은 모두 논리 게이트와 플립플롭 같은 기본 디지털 소자를 구현하지만, 동작 방식과 성능, 응용 분야에서 큰 차이를 보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CMOS와 TTL IC의 특징과 차이점을 비교해 보겠습니다.1. CMOS IC란?CMOS (Complementary Metal-Oxide-Semiconductor) IC는 NMOS와 PMOS 트랜지스터를 조합해 동작하는 집적회로입니다. 스위칭 동작에서 전류 소모가 적어 저전력 특성이 우수하며, 고밀도 집적이 가능해 오늘날 대부분의 디지털 IC에 사용됩니다.✔ 초저전력 소모✔ 높은 집적도✔ 넓은 동작 전압 범위2. TTL IC란?TTL (Transistor-Transistor Log.. 2025. 9. 23. ADC/DAC IC의 원리와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과정 ADC/DAC IC는 아날로그와 디지털 신호 사이를 연결하는 핵심적인 집적회로입니다. 현실 세계의 물리적 신호는 연속적인 아날로그 형태이지만, 디지털 시스템은 이를 이진수로만 처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신호 변환을 담당하는 ADC(Analog-to-Digital Converter)와 DAC(Digital-to-Analog Converter)는 전자 시스템에서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1. ADC란?ADC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값으로 변환하는 회로입니다. 예를 들어 온도 센서에서 발생하는 전압 신호를 디지털 숫자로 바꿔 마이크로컨트롤러에서 처리할 수 있게 합니다.✔ 연속적인 신호 → 이산적 디지털 데이터✔ 변환 속도와 분해능(Resolution)이 성능을 결정✔ 센서 인터페이스, 오디오 .. 2025. 9. 22. 이전 1 2 3 4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