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 집적회로 제조 공정

by Circuit DesZ 2025. 10. 23.
반응형

🔹 서론

스마트폰, 전기차, 서버, AI 반도체까지—현대 전자기기의 모든 핵심은 결국 **집적회로(Integrated Circuit, IC)**에 담겨 있습니다.
하지만 많은 사람들이 IC의 중요성은 알지만 어떻게 만들어지는지, 즉 제조 공정에 대한 이해는 부족한 경우가 많습니다.

본 글에서는 집적회로(IC)의 제조 공정입문자도 이해할 수 있도록 단계별로 설명하고, 각 단계에서 사용되는 주요 장비와 기술, 그리고 관련 산업 트렌드까지 함께 소개합니다.


🔹 본론: 집적회로(IC) 제조 공정 8단계


1. 웨이퍼(Wafer) 준비

  • **실리콘(Si)**을 원재료로 사용해 300mm 웨이퍼를 절단 및 연마
  • 고순도, 불순물 제거, 완전 평탄화 필요
  • 🌱 관련 장비: 웨이퍼 슬라이서, CMP(화학적 기계 연마)

2. 산화(Oxidation)

  • 웨이퍼 표면에 **산화막(SiO₂)**을 형성
  • 보호막 역할 & 절연층으로 사용됨
  • 🌱 열산화로를 이용해 고온에서 산소 반응

3. 포토리소그래피(Photolithography)

  • 회로 패턴을 웨이퍼 위에 형성하는 핵심 단계
  • 감광막(Photoresist)을 바르고, 마스크를 이용해 노광
  • 🌱 EUV 노광장비 (ASML) 사용 가능

4. 식각(Etching)

  • 노광된 패턴을 기준으로 불필요한 부분 제거
  • 건식(플라즈마) 식각 또는 습식(화학 용액) 식각 방식 사용

5. 이온 주입(Ion Implantation)

  • 회로 동작을 위해 반도체에 도핑 처리
  • 전자 이동성을 조절하기 위해 불순물 원자를 주입

6. 증착(Deposition)

  • 금속 배선이나 절연층 등을 입히는 과정
  • CVD(화학기상증착), PVD(물리기상증착) 방식 사용
  • 여러 층의 회로 구조 형성에 필수

7. CMP(화학적 기계 연마)

  • 여러 층의 증착 후 표면을 다시 평탄화
  • 다음 공정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한 핵심 과정

8. 패키징 및 테스트

  • 완성된 칩을 절단(dicing) → 패키지에 탑재 → 테스트
  • 전기적 테스트, 기능성 테스트로 품질 확인
  • 🌱 패키징 트렌드: 칩렛, 3D IC, 팬아웃 패키지 등

🔸 Q&A 섹션 (리치 스니펫 구조)

Q1. 집적회로 제조 공정에서 가장 핵심적인 단계는?

A. 포토리소그래피 단계가 가장 핵심입니다. 회로의 해상도, 크기, 정밀도 모두 이 단계에서 결정되며, 고가 장비(EUV 스캐너)가 필요합니다.


Q2. EUV는 어떤 역할을 하나요?

A. Extreme Ultraviolet Lithography는 7nm 이하의 초미세 공정에서 사용되는 최신 노광 기술로, 기존 DUV보다 훨씬 정밀하게 회로를 인쇄할 수 있습니다.


Q3. 집적회로 제조에 필요한 장비 회사는 어디인가요?

A. 대표적으로 **ASML(네덜란드)**는 EUV 장비 독점 생산, Applied Materials, Lam Research, Tokyo Electron 등이 증착, 식각 장비를 공급합니다.


🔹 결론 및 요약

집적회로 제조 공정은 단순히 실리콘 위에 회로를 그리는 것이 아닌, 수십 개의 고도화된 공정이 반복되는 고정밀 산업입니다.
특히, 미세공정으로 갈수록 장비, 소재, 공정 제어 기술력이 국가 경쟁력과 직결되고 있습니다.

요약

  • 총 8단계 (웨이퍼 준비 → 산화 → 포토리소그래피 → 식각 → 도핑 → 증착 → CMP → 패키징)
  • 주요 기술: EUV, CMP, 이온 주입, CVD
  • 관련 기업: ASML, 삼성전자, TSMC, 인텔, Applied Materials

🔗 참고 링크 (외부 링크)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