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초 학습형

디코더·멀티플렉서 IC의 원리와 응용

by Circuit DesZ 2025. 10. 7.
반응형

디코더 IC멀티플렉서(MUX) IC는 디지털 회로에서 신호를 선택하고 분배하는 핵심 소자입니다. 메모리 주소 지정, 데이터 라우팅, 신호 변환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복잡한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설계할 수 있게 해줍니다.

1. 디코더 IC란?

디코더(Decoder) IC는 n비트 입력을 받아 2ⁿ개의 출력 중 하나를 활성화하는 회로입니다. 즉, 입력 코드에 따라 특정 출력 라인이 선택되어 '1' 신호가 전달됩니다.

  • ✔ 2→4 디코더: 2비트 입력 → 4개 출력
  • ✔ 3→8 디코더: 3비트 입력 → 8개 출력
  • ✔ 4→16 디코더: 4비트 입력 → 16개 출력

대표적인 디코더 IC: 74138 (3→8 디코더), 4028 (BCD→10 디코더)

2. 멀티플렉서 IC란?

멀티플렉서(Multiplexer, MUX) IC는 여러 입력 신호 중 하나를 선택해 출력으로 전달하는 회로입니다. 선택 신호(Select Line)에 의해 출력 경로가 결정됩니다.

  • ✔ 2:1 멀티플렉서 → 입력 2개 중 하나 선택
  • ✔ 4:1 멀티플렉서 → 입력 4개 중 하나 선택
  • ✔ 8:1 멀티플렉서 → 입력 8개 중 하나 선택

대표적인 멀티플렉서 IC: 74157 (4:1 MUX), 4051 (아날로그 멀티플렉서)

3. 디코더와 멀티플렉서의 차이점

구분 디코더 IC 멀티플렉서 IC
기능 입력 코드를 출력 라인으로 변환 여러 입력 중 하나를 선택해 출력
출력 개수 2ⁿ개 1개
대표 응용 메모리 주소 디코딩 데이터 경로 선택

4. 디코더 IC의 응용

  • 메모리 주소 지정: 입력 주소에 따라 특정 메모리 블록 활성화
  • 7세그먼트 디스플레이 구동: 숫자 표시를 위한 디코딩
  • 명령 디코딩: CPU가 실행할 명령을 해석

5. 멀티플렉서 IC의 응용

  • 데이터 선택: 여러 소스 중 하나를 출력으로 전달
  • 신호 라우팅: 통신 회로에서 경로 선택
  • 제어 회로: 조건부 연산 구현
  • ADC 채널 선택: 여러 센서 입력 중 하나 선택

6. 디코더·멀티플렉서 IC의 장단점

장점

  • ✔ 신호 분배와 선택을 단순화
  • ✔ 회로 설계의 효율성 향상
  • ✔ 소형화와 집적화 가능

단점

  • 📌 출력 개수가 많아지면 회로 복잡성 증가
  • 📌 전파 지연(Propagation Delay) 문제

7. 미래적 관점

디코더와 멀티플렉서 IC는 단순한 소자이지만, FPGA·SoC 내부에서도 여전히 기본 블록으로 사용됩니다. 앞으로는 저전력 설계, 고속 동작, 아날로그/디지털 혼합 회로에서의 활용이 확대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결론

디코더 IC멀티플렉서 IC는 디지털 회로에서 신호를 선택하고 분배하는 핵심 소자입니다. 메모리 주소 지정, 데이터 경로 선택, 신호 변환 등 다양한 응용에서 활용되며, 오늘날에도 모든 디지털 시스템의 기본 구성 요소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Circuit DesZ” 였습니다.

다음 글에서는 ‘ADC/DAC IC의 동작 원리와 응용’을 주제로 아날로그와 디지털 변환 기술을 다뤄보겠습니다.

반응형